Main image

바이노럴비트의 뇌파 동조 효과

2 min

바이노럴비트란 무엇인가?

바이노럴비트(Binaural Beat)’는 두 귀가 서로 다른 주파수의 소리를 들을 때, 뇌가 그 차이를 새로운 “가상의 리듬”으로 인식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왼쪽 귀에는 210Hz, 오른쪽 귀에는 200Hz의 소리가 들리면 뇌는 두 소리의 차이인 10Hz를 하나의 주기적인 파동처럼 느낍니다. 이때 만들어지는 10Hz의 착각된 리듬이 바로 바이노럴비트입니다.


🧠 바이노럴비트의 뇌파 동조 현상

이 단순한 청각적 착각이 흥미로운 이유는, 우리 뇌의 전기적 리듬(뇌파)과 동기화(brain entrainment)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10Hz의 비트를 들으면 뇌파도 점차 10Hz의 리듬(세타파 영역)에 맞춰가며 이완, 집중, 졸음 등 특정한 상태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런 ‘뇌파 동조(Brainwave Entrainment)’ 현상은 1839년 독일의 물리학자 하인리히 도브(Heinrich Dove)가 처음 발견했습니다1.

이후 여러 세기에 걸쳐, 뇌파의 리듬이 외부 자극과 동기화되는 ‘뇌파 동조(brain entrainment)’ 현상에 대한 연구가 이어졌습니다.

Schwarz & Taylor2의 연구에서는 약 40 Hz 바이노럴비트 자극 시 ‘청각 지속 반응(Auditory Steady-State Response, ASSR)’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뇌가 외부의 리듬성 자극에 동기화되어 반응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또한, Ioannou et al. 3의 연구에서는 알파(10 Hz) 및 델타(1 Hz) 바이노럴비트 자극 시 EEG 상에서 알파파 파워가 유의하게 증가했습니다. 이 외에도 Jirakittayakorn & Wongsawat 4의 연구에서는 세타(6 Hz) 바이노럴비트 자극 중 실험군의 거의 모든 전극에서 세타파 파워가 증가한 반면, 대조군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이처럼, 다수의 연구들은 바이노럴비트가 뇌파의 특정 주파수대(예: 알파, 세타, 델타)와 일시적으로 동조되는 현상을 관찰했지만, 그 강도와 일관성은 실험 조건(노이즈, 음압, 자극 시간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5 . 즉, 바이노럴비트가 항상 모든 사람의 뇌파를 변화시키는 것은 아니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이완과 집중, 혹은 수면 전 안정 상태를 강화할 가능성이 확인된 셈입니다.

바이노럴비트는 주파수 차이에 따라 뇌의 상태를 다르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1. 델타파 (0.5–4Hz): 깊은 수면과 회복
  2. 세타파 (4–8Hz): 졸음·이완·명상
  3. 알파파 (8–12Hz): 평온·집중
  4. 베타파 (12–30Hz): 각성·활동

이처럼, 바이노럴비트는 단순한 ‘수면용 사운드’가 아니라 뇌의 리듬을 자연스럽게 조율해 마음과 몸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음향 기술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 Nightly에서 지금 들을 수 있어요

현재는 iOS에서만 제공

Nightly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매일 밤 고객님께 조금 더 최적화된 바이노럴비트를 추천하는 AI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고객님의 수면 리듬과 상태를 학습해, 가장 안정적인 주파수 조합을 찾아내고, 점점 더 개인화된 수면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어폰을 연결하면 자동으로 ‘헤드폰 모드’로 전환되어, 귀로는 잔잔한 파동을 들으며 뇌와 몸은 점차 깊은 안정 상태로 이끌리게 됩니다. 단순한 소리가 아니라, 뇌와 몸이 함께 잠드는 리듬입니다. 오늘 밤 바로 Nightly의 바이노럴비트를 경험해보세요.

주제
참조
      Da Silva Junior, M., Freitas, R. C. d., dos Santos, W. P., Da Silva, W. W. A., Rodrigues, M. C. A., & Conde, E. F. Q. (2019). Exploratory study of the effect of binaural beat stimulation on the EEG activity pattern in resting stat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Cognitive Systems Research, 54, 1–20.
      Schwarz & Taylor (2005). “Human auditory steady-state responses to binaural and monaural beats.” Clinical Neurophysiology
      Ioannou, C. I., Pereda, E., Linden, D. E. J., & Bhattacharya, J. (2015). EEG effects of short binaural beat presentation on EEG responses of musicians and non-musicians. PLOS ONE, 10(7), e0134284.
      Jirakittayakorn, N., & Wongsawat, Y. (2017). Effects of a binaural beat on EEG theta activity. Frontiers in Neuroscience, 11, 365.
      Vernon, D. et al. (2023). Binaural beats to entrain the brain?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s of binaural beat stimulation on brain oscillatory activity.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17, 10198548.
이 꿀잠레터 유용했나요?